SoSo한 CEO의 소소한 이야기들

투자 / 사업 / 마케팅 / IT / 개발 / Creator

구인 3

지방 숙식 제공해 주시면 IT 개발 업무 해드리겠습니다 - 지연무관 / No-Salary

[개발자]웹/앱/프론트엔드/백엔드/서버/클라우드/빅데이터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프로젝트 개발 경력이 있는 전직 개발자입니다. 중소 개발 회사에서 주로 신규 사업과 R&D 사업에만 배정이 되어서 그 당시에 핫한 기술 분야에 대해 공부하면서 개발을 대략 6년 정도 했습니다. 그래서 운이 좋게도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환경과 기술을 경험했고, 퇴사하고 사업을 하고 있는 지금까지도 그때 익힌 것들을 너무나도 잘 활용하면서 꾸준하게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챗지피티를 이용해서 자동 응대 서비스도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 출시를 했습니다. 해보지 않은 것이라고 해도 시간이 있고, 개발/코딩 영역이기만 하면 어떻게든 결과는 내놓을 수 있으며, 꾸준히 개선할 수 있는 경험과 역량이 있습니다. [사업자]언급한..

블라블라 2024.11.03

IT 비 전공자가 전공 분야에서 개발 커리어를 쌓는다면?

아래 내용은 며칠 전에 비 IT 전공의 한 취업 준비생분에게 멘토링을 해준 내용 중의 일부입니다. 만약 본인이 IT 전공이 아니라서 적어도 현재에는 IT보다 더 내세울 수 있는 경력이나 지식이 있다면 해당 분야에서 IT를 접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IT를 사용하지 않는 분야는 거의 없기 때문에 만약 본인의 전공 분야에서 IT 인력을 구하는 회사가 있다고 하면 IT 분야에서 IT 전공자와 경쟁하는 것보다 그 회사를 통해 훨씬 더 좋은 기회를 잡을 수도 있습니다. IT 전공을 했든 안 했든 개발자를 하려는 사람들은 대부분 IT 회사에 취업을 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비 IT 분야에서 IT 업무를 하며 경력을 쌓을 수 있다면 이게 돌아간다고 생각을 하시겠지만 전혀 그렇지 않고 오히려 더 빠르게 특정 영역의 ..

IT 2023.11.18

구인구직 시장에서 약자는 회사 대표??

다수의 입장이 더 부각되기가 쉬운 면이 있습니다. 자신의 입장이나 생각을 피력할 생각이 없다가도 다수에 휩쓸려서 자신도 그들과 한 배를 타거나 살짝 발을 올려놓는 경우가 있죠. 나만 안 하면 손해 같고, 한다고 크게 손해 볼 것도 없고... 그러다 보니 절대 다수인 직장인 중심의 이야기가 절대 소수인 회사의 대표들의 그것보다 훨씬 더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자연스레 회사는 착취하는 계급, 직장인은 착취 당하는 계급이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그 영향으로 직원에 대한 회사의 의무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고, 자신들은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직장인들의 근로 조건 혹은 워라벨은 그만큼 더 좋아지고 있습니다. 이제는 너무 당연한 제도이지만 퇴직금, 출산 휴가를 비롯해서 주 52시간 근무 제도, 징검다리 연휴, 거기..

사업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