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So한 CEO의 소소한 이야기들

투자 / 사업 / 마케팅 / IT / 개발 / Creator

일상 7

퇴사해서 사업을 하려는 이유는?

성공한 사업가, 대표, VC 등 직장인이 아닌 성공한 경제인 분들의 인터뷰나 기사, 책 등을 보면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멘트들이 몇 개 있습니다. 1. 사업을 하면 직장인 때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벌어야 된다 2. 직장인일 때보다 훨씬 더 힘들고, 더 열심히 일해야 된다 동의하지 못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동의하시지 못하시는 분들이라면 뭔가 특별하거나 타고났거나 뛰어나거나 등의 남들보다 우월 혹은 유리한 뭔가가 있는 분들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운이 좋았던 것일 수도 있고요. 어쨌든 저와는 인연이 없는 것들이기 때문에 퇴사하고 사업을 시작하면서 매출에 대한 압박, 스트레스를 달고 살고 있습니다. 돈 직장인으로서 회사를 다닐 때는 회사를 다니기 때문에 내가 사용해..

사업 2022.12.16

1인사업 하다 보니 일상도 혼자

제 성격이 둥글둥글하지 못해서이기도 하지만 퇴사하고 사업을 하면서 발생한 거의 모든 문제는 사람때문이었습니다. 제 실수나 무지/무능으로 인한 문제였다면 그냥 한숨 쉬고 피해보고 넘어가면 되지만 다른 사람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는 한숨과 피해는 기본이고 그 이상의 지저분한 예상할 수도, 생각하기도 싫은 일의 연속으로 그냥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내가 더 큰 피해를 입거나 참거나 바보가 되지 않는 한은 분쟁의 연속입니다. 회사를 다니면서도 사람때문에 고생을 하지만 퇴사하고 사업을 하면 상식/기본은 없고, 억지/무논리/고함만이 있는 사람들과 고생하면서 정신적/법적 싸움까지 해야 됩니다. 사업을 하면서 이런 일들이 반복이 되다 보니 더러워서 피한다는 논리로 사람들과 최대한 엮이지 않을 수 있는 일들 위주로 사업을..

사업 2022.11.06

시간에 집착하는 개인 사업자가 시간 약속을 지키는 방법

회사에서 월급을 받을 때와 퇴사 후 사업을 할 때의 차이는 정말 많이 있겠지만 가장 큰 차이 중의 하나가 바로 매출/수익에 관한 겁니다. 회사에서는 내가 뭘 하든 말든, 어떤 일을 많이 하든 말든 고정 수익이 있지만 회사를 나오는 순간부터는 고정 지출만이 있을 뿐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퇴사를 하고 사업을 시작한 나는 수익을 만들어 내기 위해 뭔가를 하겠죠. 하지만 뭘 한다고 하는 족족 수익이 발생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이게 사업을 계속할 수 있냐 없느냐의 가장 큰 분기점이 됩니다. http://www.podbbang.com/ch/1780825?e=24351470 워크홀릭에 시간에 집작하는 개인 사업자가 약속 시간을 지키는 방법 시간에 대해서는 제가 봐도 저는 좀 많이 집작을 하고 있습니다...ㅋ..

사업 2022.05.22

왜 그렇게 사업을 하냐고? 그럼 넌 왜 그 월급 받으면서 일하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분야 하나에 모든 걸 걸고 사업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내 역량과 성향 상 어떤 하나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는 건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적당한 결과를 내는 형태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적당한 결과들이 모여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건 저에게 많은 걸 의미하는데 그것들의 중의 하나가 "여러 사업들 중에서 하나가 망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 입니다. 또 이 말의 의미는 어떤 사업 하나 때문에 내가 너무 비굴해지거나 아쉬운 짓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내가 돈을 받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이라서, 돈을 주는 소비자가 없으면 매출이 없을 거라는 이유 때문에 내가 손해를 감수하거나 하지도 않은 잘못을 인정할 필요가 없다..

사업 2022.05.07

내 삶을 내 위의 누군가한테 맡기고 의지하고 결정하게 하지 말자.

코로나에 이어 오미크론... 그리고 그 뒤를 이어서 변이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루 확진자는 30만 명이 넘고 있습니다. 즉, 코로나/오미크론은 현재 진행형으로 더 심해지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나라에서는 오히려 방역 패스를 해제했고, 그 덕분인지 줄어들었던 IT/개발 관련 강의나 세미나 문의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7548/clips/93 개발 컨설팅/수업/강의 의뢰가 다시 늘어나는 이유는? (by SoSoCEO - 사업하는 개발자) 저는 그저 좋지요~ audioclip.naver.com 코로나가 지금보다 덜할 때도 지금보다 더 강하게 제한을 하다가 심해지니 제한을 완화하네요... 뭐 제 입장에서는 제한이 없는 지금이 ..

IT 2022.03.14

내 손해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옳고 그름

살면서 겪게 되는 많은 어려움과 짜증, 스트레스, 고통은 대부분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합니다. 사람은 혼자서 살 수는 없기 때문에 피할 수 없기도 하고, 사람이 다양한 만큼 다양한 걸로 사람을 미치게 만들기도 합니다. 절대적이고, 보편적이고, 이성적인 기준이나 판단에 의해서 결정되고, 행동하지를 않습니다. 모든 척도와 행위는 '나'를 기준으로 합니다. 남의 돈 만 원보다 내 돈 천 원이 더 크고 값집니다. 내가 하면 연애고, 남이 하면 불륜입니다. 나는 무조건 피해자이고, 남은 무조건 가해자입니다. 이러니 대화가 안 되고, 당연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잘못을 한 당사자가 인정을 하지 않으니 해결될 수가 없습니다. 피해자가 계속 참고 손해 볼 수도 없습니다. 그런 사람들만 만나고 있는 건지, 모든 ..

사업 2021.12.09

잘 놀던 애들이 돈은 더 잘 버네?

모든 야구 선수가 메이저리그 선수가 될 수 없고, 모든 연예인이 광고 하나 찍고 수 억을 벌 수 없으며, 모든 사업자가 수 십 ~ 수 백억 원에 자신이 키운 회사를 매각할 수는 없습니다. 현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실력이나 능력, 인성, 나의 선호도에 상관없이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었던 유일한 시기가 대학생 이전의 학창 시절이었네요. 나중에 한 기업의 수장이 되거나 TV에서 유명한 연예인이 되는 사람도 학생 때는 모두가 똑같은 교실에서 똑같은 교복을 입고, 나름 친구로 짧지 않은 시간을 함께 보내게 됩니다. 대학교를 가고 졸업하고 취업을 한 후에는 도저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조합이 그 시절에는 가능했던 겁니다. 그러면서도 성적이라는 기준으로 위가 있고, 아래가 있었습..

사업 2021.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