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So한 CEO의 소소한 이야기들

투자 / 사업 / 마케팅 / IT / 개발 / Creator

sosoceo 85

기술과 경력을 원하는 비 전공 개발자와 시간과 돈, 인력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전공/나이/성별/직급 불문하고 많은 분들이 개발 분야에 발을 들여놓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점점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신의 적성이나 전공은 무시하고 취업 자체를 목적으로 개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들도 많고, 조금만 알아봐도 국비 지원으로 개발 교육까지 받을 수 있으니 '안 되면 말고' 식으로 개발 분야에 노크하는 분들 또한 많습니다. 모든 건 개발 분야는 지금 현재 가장 잘 나가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일은 많은데 개발 인력은 부족하고, 이름 있는 회사들도 엄청난 연봉과 복지, 워라벨로 실력 있는 개발자들을 흡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http://www.podbbang.com/ch/1780825?e=24364922 기술과 경력을 원하는 비 전공 구직자와 시간과 돈, 인력이 부족..

IT 2022.06.06

1년 365일 24시간 시도 때도 없이 소소한 수익을 만들어 내는 게 내 사업

일반적인 일과 수익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내가 일한 만큼 돈을 받는다 - 일하지 않으면 수익이 없다 - 수익을 늘리기 위해서는 더 일하거나 그럴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어야 된다 어떻게 보면 일과 수익의 관계는 1:1의 관계? 등가 교환의 원리? 이런 것과 비슷해 보입니다. 너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지 아니면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지 저는 모릅니다. 단지 저는 너무 비효율적이고, 잘못됐다는 생각이 들뿐입니다. 그래서 퇴사를 한 겁니다. 내 시간과 몸이 회사에 묶이고, 회사를 위해서 사용하는 대가로 월급을 받는 겁니다. 돈을 더 많이 받으면 더 많은 시간, 혹은 더 많은 능력, 더 좋은 결과가 요구됩니다. 그 결과에 맞게 월급과 성과급을 받는다. 전혀 이상하게 들리지 않..

사업 2022.05.30

시간에 집착하는 개인 사업자가 시간 약속을 지키는 방법

회사에서 월급을 받을 때와 퇴사 후 사업을 할 때의 차이는 정말 많이 있겠지만 가장 큰 차이 중의 하나가 바로 매출/수익에 관한 겁니다. 회사에서는 내가 뭘 하든 말든, 어떤 일을 많이 하든 말든 고정 수익이 있지만 회사를 나오는 순간부터는 고정 지출만이 있을 뿐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퇴사를 하고 사업을 시작한 나는 수익을 만들어 내기 위해 뭔가를 하겠죠. 하지만 뭘 한다고 하는 족족 수익이 발생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이게 사업을 계속할 수 있냐 없느냐의 가장 큰 분기점이 됩니다. http://www.podbbang.com/ch/1780825?e=24351470 워크홀릭에 시간에 집작하는 개인 사업자가 약속 시간을 지키는 방법 시간에 대해서는 제가 봐도 저는 좀 많이 집작을 하고 있습니다...ㅋ..

사업 2022.05.22

개발자/관리자/사업자마다 다른 관점과 선택의 기준

사업을 하며, 일주일에 이틀 스타트업에 출근도 하고 있습니다. 그곳에서 개발자 관리를 해보니 새로운 관점/생각/기준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이게 좀 재미있는 게 사업을 하기 전에는 개발자를 일을 했었고, 지금은 그런 개발자들을 관리를 하는 입장이다 보니 예전과 지금을 비교해보는 게 나름 매력적이고, 글이나 오디오 콘텐츠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 거리도 많이 생깁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7548/clips/110 개발만 잘하면 실력 있는 개발자일까? (by SoSoCEO - 사업하는 개발자) 저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audioclip.naver.com [신입 개발자의 입장] 회사에서 일정이 계속 바뀌고, 주먹구구 식으로 혹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으로..

IT 2022.05.13

퇴사한 사업자의 부업은 전 직장

회사를 다니다가 퇴사를 하고 사업을 하고 있는데 종종 퇴사한 회사의 일을 외주로 받아서 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엮이는 게 싫어서 퇴사를 했는데 그렇게 하니 그 회사에 직원으로 있을 때보다 더 적은 명확한 하나의 일을, 더 많은 돈을 받고 일을 하게 되었습니다. 퇴사한 순간부터 절대 회사에 취업하지 않을 거라고 결심했고, 최악의 상황이 되었어도 어저면 알량한 자존심 때문에 이전 직장으로 돌아가지는 않았을 겁니다. 그런데 퇴사해서 사업 잘 하고 있는데 오히려 이전 직장의 일을 외주로 받아서 하고 있는 겁니다. 여전히 회사와 엮여 있는겁니다. http://www.podbbang.com/ch/1780825?e=24343399 내가 회사에 아쉬운 게 있는 순간부터 나는 을이고, 병이고, 정이다... 음질이 별로인..

사업 2022.05.09

왜 그렇게 사업을 하냐고? 그럼 넌 왜 그 월급 받으면서 일하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분야 하나에 모든 걸 걸고 사업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내 역량과 성향 상 어떤 하나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는 건 잘 맞지 않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적당한 결과를 내는 형태로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적당한 결과들이 모여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이건 저에게 많은 걸 의미하는데 그것들의 중의 하나가 "여러 사업들 중에서 하나가 망해도 크게 상관이 없다" 입니다. 또 이 말의 의미는 어떤 사업 하나 때문에 내가 너무 비굴해지거나 아쉬운 짓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 내가 돈을 받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이라서, 돈을 주는 소비자가 없으면 매출이 없을 거라는 이유 때문에 내가 손해를 감수하거나 하지도 않은 잘못을 인정할 필요가 없다..

사업 2022.05.07

새로운 걸 공부하는 건 싫지만 돈을 주면 기꺼이 완수해내는 전직 개발자

글을 쓰기 직전에 개발 관련 영상을 하나 봤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기술에 대한 호기심이 없으면 좋은 개발자가 될 수 없다... 뭐 이 정도? 듣고 정말 많이 뜨끔했습니다. 개발 회사에서 퇴사를 하고, 개발 관련 일로 사업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개발 경험과 기술을 잘 이용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리고 개발자로 일을 했던 사람으로서 개발적으로 좀 더 좋은 기술, 빠른 기술, 효율적인 기술, 결과물이 더 세련되게 할 수 있는 기술들을 활용해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바쁘고, 귀찮아서 할 줄 아는 기술들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개발자로서는 잘못된 건 알지만 이제는 개발이 본업이 아니고, 현재 알고, 할 수 있는 기술들만으로도 내가 하려고 하는 것만 할 수 있으면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사업자로서는 맞는 결..

IT 2022.04.15

휴학/자퇴/퇴사하고 노력만 하면 사업이 잘 될까?

[노력] 학사 졸업을 위해 대학교를 거의 10년을 다녀야 했습니다. 이유는 사업한다고 휴학하고 복학하는 걸 1년씩 두 번이나 반복했기 때문입니다. 남들이 꺼려하는 선택을 해서 화끈하게 노력하면 뭐든 되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돌아갈 곳이 있으면 해이해질 수 있다는 이유로 휴학이 아닌 자퇴를 하려고 했었는데 생각만 한 게 다행일 뿐입니다... 고등학생 때까지는 열심히 공부하면 그만큼의 결과가 나왔었고, 그 덕분에 공부를 하면서 힘들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대학생 때부터는 그렇지가 않았습니다. 막무가내로 열심히만 한다고 성적이 나오지 않아서 현타가 제대로 왔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건 20대의 대학생이 패기만 가지고 휴학을 해서 시작한 사업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지금 생각..

사업 2022.03.27

내 삶을 내 위의 누군가한테 맡기고 의지하고 결정하게 하지 말자.

코로나에 이어 오미크론... 그리고 그 뒤를 이어서 변이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루 확진자는 30만 명이 넘고 있습니다. 즉, 코로나/오미크론은 현재 진행형으로 더 심해지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나라에서는 오히려 방역 패스를 해제했고, 그 덕분인지 줄어들었던 IT/개발 관련 강의나 세미나 문의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7548/clips/93 개발 컨설팅/수업/강의 의뢰가 다시 늘어나는 이유는? (by SoSoCEO - 사업하는 개발자) 저는 그저 좋지요~ audioclip.naver.com 코로나가 지금보다 덜할 때도 지금보다 더 강하게 제한을 하다가 심해지니 제한을 완화하네요... 뭐 제 입장에서는 제한이 없는 지금이 ..

IT 2022.03.14

코로나 시대 신입 개발자 실력&연봉 & 워라벨 중 우선 순위는?

[관련 글 : 돈을 받으면서 새로운 것을 배우다] 개발자 경력이 2년도 안 되는 신입 개발자의 연봉이 5,000 최근에 이름 있는 IT 기업의 개발자 초봉이 6,000만 원을 넘는다고 하니 5,000만 원이라는 연봉이 그렇게 높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게 개인적으로는 놀라울 뿐입니다. 연봉 5,000을 받고 있는 위의 개발자는 제 부사수인데 외국인이고, 주 1회 출근에 일의 강도도 높지 않아서 그 친구에게 연봉 5,000도 충분히 높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의 강도가 높지 않다는 건 개발 경력이 더 많은 제 기준이 아니고, 연봉 5,000만 원을 받고 있는 당사자도 인정하는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이런 조건이 계속 유지될 수 있는 건 속해 있는 스타트업 회사에서 개발을 할 수 있고, 개발 분야에 있던 사람이 저..

IT 2022.03.06